2. User Call vs. Recursive Call
2010.07.07 07:45
Call의 종류
- User Call : OCI를 통해 오라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Call을 말한다.
- Recursive Call : 오라클 내부에서 발생하는 Call을 의미한다
■User Call은 동시접속이 많은 상황에서 시스템장애를 발생시키는 가장 큰 주범.
즉, User Call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.
■User Call의 최소화
- Loop쿼리를 해소하고 집합적 사고를 통해 One-SQL로 구현
- Array Processing : 일괄발행
- 부분범위처리 원리 활용
- 효과적인 화면 페이지 처리
- 사용자 정의함수/프로시져/트리거를 적절히 활용
■Call의 튜닝원리
댓글 0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27 | 8. 애플리케이션 커서 캐싱 | 토시리 | 2010.06.29 | 6742 |
26 | 9. Static vs. Dynamic SQL [1] | balto | 2010.07.03 | 18608 |
25 | 10. Dynamic SQL 사용 기준 | balto | 2010.07.03 | 8760 |
24 |
11. Static SQL 구현을 위한 기법들
![]() | 실천하자 | 2010.07.04 | 12273 |
23 |
4. Array Processing 활용
![]() | 휘휘 | 2010.07.04 | 21041 |
22 | 1. Call 통계 | 실천하자 | 2010.07.04 | 10603 |
21 |
5. Fetch Call 최소화
![]() | 휘휘 | 2010.07.05 | 17105 |
20 | 5장. 데이터베이스 Call 최소화 원리 | 휘휘 | 2010.07.05 | 6241 |
» |
2. User Call vs. Recursive Call
![]() | 토시리 | 2010.07.07 | 9191 |
18 |
3. 데이터베이스 Call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
![]() | 토시리 | 2010.07.07 | 11804 |
17 | 6장. I/O 효율화 원리 | 휘휘 | 2010.07.07 | 6554 |
16 |
4. Prefetch
![]() | balto | 2010.07.10 | 28599 |
15 |
5. Direct Path I/O
![]() | balto | 2010.07.10 | 12352 |
14 | 8. PL/SQL 함수 호출 부하 해소 방안 | 토시리 | 2010.07.11 | 14223 |
13 | 6. 페이지 처리의 중요성 | 실천하자 | 2010.07.11 | 6971 |
12 | 2. Memory vs. Disk I/O | 휘휘 | 2010.07.11 | 7569 |
11 | 3. Single Block vs. Multiblock I/O | 휘휘 | 2010.07.11 | 9329 |
10 | 7. PL/SQL 함수의 특징과 성능 부하 | 실천하자 | 2010.07.12 | 12765 |
9 |
1. 블록 단위 I/O
![]() | 토시리 | 2010.07.12 | 9528 |
8 |
1. Library Cache Lock
![]() | balto | 2010.07.17 | 12946 |